• 최종편집 2024-04-19(금)
 
황새의 청정 서식지 조성을 위해 공들여온 광시권역 친환경농업이 삐걱대고 있다.

황새를 테마로 한 친환경농산물이 기대만큼의 시너지를 내지 못해 생태농업(무농약)에 참여했던 다수 농가들이 관행농법으로 회귀한 것인데, 이곳에서 자유롭게 먹이활동을 하던 야생 황새들에겐 생명을 위협하는 오염원 등장으로 비상이 걸렸다.

예산군과 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광시권역에서 벼농사를 짓던 황새논살이작목반 등 농경지 34필지 7만5684㎡의 친환경 인증이 취소됐다.

또 벼에서 농약성분이 미량 검출돼 ‘무농약농산물 표시 제거·정지’ 처분을 받은 경우(35필지 7만2724㎡)까지 합치면 이 권역 농경지 14만8408㎡에서 생산되던 친환경농산물이 지난해 일반농산물로 전환됐다.

농가들이 우렁이농법을 포기하고 농약을 쓰는 관행농법으로 되돌아가는 건 친환경의 까다로운 요건 충족에 들이는 노력만큼 돌아오는 대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친환경으로 농사지으면 돈벌이가 나아야하는데 관행농법보다 오히려 손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관행농법으로 경작된 벼(40kg) 수매가가 6만2000원에 형성됐으나, 광시권역에서 생산된 친환경 벼는 전체 1000여톤 중 절반치만 6만7000원대를 받고 나머지는 관행농법 쌀과 비슷한 수준으로 값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매뉴얼상 병해충이 생기더라도 농약살포를 통한 적기 방제가 불가능해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관행농법의 절반 수준에 그치면서, 농가소득 면에선 친환경농업이 오히려 뒤처지는 불합리한 구조가 돼버렸다.

친환경 인증을 담당했던 기관 측은 “가뭄 때 멸강충 피해로 수확량이 전년대비 절반 또는 3분의 1수준으로 줄었지만 무농약 인증을 받은 탓에 살충제를 쓸 수 없었다”며 “친환경 농가들의 수확량이 감소했다 해서 그만큼 쌀값을 더쳐 보전해주는 것도 아닌데 농가들 입장에서는 무농약 인증을 유지할 이유가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고 사정을 설명했다.

우려스런 대목은 다수 농가들의 친환경농업 포기가 황새서식지 파괴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이는 무공해 생태환경을 자랑했던 황새공원 일대 식생지대와 수질이 농약성분 등으로 오염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 주변에 방사돼 먹이활동을 하는 야생 황새들에겐 치명상을 안길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황새사업은 예당저수지 일대를 관광벨트화하려는 민선 7기 핵심 관광시책과도 결부되는 사안이어서, 황새가 머무는 광시권역에 대해선 서식지 보전 차원의 친환경농업 지원책, 친환경농업 특구 지정 등 차별화된 대책수립이 요구된다.

김택영 전 시목2리 이장은 “농약 사용을 못하다 보니 논두렁 풀깎기가 가장 큰 애로사항이다. 예초기를 다루지 못해 제초제를 쓰는 경우가 있는데, 적어도 고령자와 여성농업인에 한해선 지자체가 지원을 벌여야 한다”며 “두루미 마을처럼 농민들은 친환경 농사에 전념케 하고 소득보전 방안 등은 지자체가 개입해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시에서 친환경벼농사를 짓는 서동진 전 황새공원 연구원은 “황새 개체수 증가에 따라 친환경농업 면적을 어느 정도 늘려가야 하는지 체계적으로 중장기계획부터 수립해야 한다”며 “실행단계에서는 황새 서식환경 조성을 위해 친환경농업을 하라고 강요만 할 게 아니라 농민들로 하여금 친환경농업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광시권 친환경농업 ‘흔들’…황새 서식지 ‘위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